본문 바로가기

우리는 中國을 너무 모른다

[우리는 中國을 너무 모른다] 사회

젓갈··김치 등 전통 먹거리까지 점령

옌볜 아줌마 없이는 식당운영도 못할 판

갈비2인분 말하셨습니까?~” 지난 10 24일 서울 안암동의 한 갈빗집. 겉보기에는 마냥 평범한 식당이지만 안으로 들어가는 순간 짙은 옌볜 사투리를 듣고는 아줌마를 다시 쳐다보게 된다. 고향이 어디냐고 물어보니 옌볜이라고 했다. 이런 풍경은 한·중 수교 후 우리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법무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8 월 말까지 한국에 취업 중인 중국동포(조선족) 수는 9만4305명. 이 중 음식업계 종사자가 29663명으로 전체의 31.4%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다 보니 어느 식당에서든 조선족 동포 아주머니를 만나는 일은 어렵지 않다. 조선족 동포를 고용하는 이유는 한국인 종업원을 구하기가 힘들어졌기 때문. 이 틈을 노려 전문 브로커가 생기고 조선족 동포를 전문으로 소개하는 직업 소개소가 생겼으며 이제는 서울시내 절반 이상의 식당이 1명 이상의 조선족 동포를 고용하고 있을 만큼 보편화됐다. 바꿔 말하면 조선족 동포  없이는 식당 운영이 힘들어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한국의 대표식품인 김치도 한·중 수교 이후 중국산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photo 조선일보 DB)


 

한국과 중국이 적대적 관계를 청산하고 본격적으로 수교한 지 15년이 지났다. 그동안 여러 분야에서 중국과 한국 사이에는 수많은 변화가 있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인적 교류의 증가이다. 수교 첫해 13만명이던 한국과 중국 간 왕래자 수는 2006 482만명으로 37배나 증가해 이 인원을 수송하기 위해 현재 매주 804 편의 항공편이 한국의 6개 도시와 중국의 30여개 도시를 오가고 있다. 하루 평균 11000명의 한국인이 중국을 방문한다. 체류자 수도 급증했다. 최근에 한국은 외국인 100만명 시대를 열었지만 그 중 중국 국적이 44만명으로 무려 절반에 가깝다. 이들 중에는 한국에서 유학 중이거나 친지를 방문 중인 사람도 있고 내국인의 일손이 부족한 곳에서 묵묵히 땀방울을 흘리고 있는 사람도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인천 국제 제1여객터미널 농산물 검역소의 중국산 고추 검역 장면. (photo 조선일보 DB)


중국어에 대한 수요도 급격히 증가해 인적 교류뿐 아니라 교육 교류도 활발하다. 조선족 동포 최려(24)씨는 어렸을 때부터 베이징에서 생활해 한국 문화를 거의 접하지 못했다. “조선족이지만 옌볜에서 생활하지 않아서 한국어는 거의 할 줄 몰랐습니다. 그래도 아버지가 한국 사람이라면 한국에 대해서 알아야 하지 않겠냐고 하셨고 한국어도 본격적으로 배울 겸 한국 대학으로 가라고 권하셨습니다.” 고민 끝에 최씨는 여행 산업을 하는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한양대 관광학부 05학번에 특별전형으로 입학했다. 중국에서 유학 온 조선족 동포는 중국어와 한국어를 동시에 유창하게 구사하기 때문에 중국 관광객이 급증한 요즘, 면세점 등 관광 관련 업체에서 아르바이트 직원으로 인기다. 이렇게 한국에서 공부하고 있는 중국인은 전체 외국인 유학생 32000여명 중 60% 2만명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한양대의 경우 학위과정 중인 900여명의 전체 외국인 학생 중 중국인이 523명으로 압도적이다. 이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공부하며 졸업 후 고향으로 돌아가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한국 기업에 취직한다.

 
반대로 몇 년 사이에 중국으로 유학 가는 학생도 부쩍 늘었다. 지난해 말 중국으로 유학 간 한국 학생은 5만7000여명으로 중국 전체 유학생인 16만명의 36%에 이르며 1만8000여명으로 2위인 일본의 3배가 넘는다. 통계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초··고 중국 조기 유학생 수는 2만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는데 이 수를 합하면 8만명에 가까운 학생이 중국에 유학 중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에서 조리학과를 졸업한 임경빈(27)씨는 2004 8월 중국으로 건너가 전통 중국요리를 배우고 지난 1월 귀국했다. “유학원을 통해 요리로 유명한 중국 장쑤성의 요리학원을 소개 받아서 2년 반 정도 있었습니다. 초기에는 한국 사람이 거의 없었는데 최근에 부쩍 많아진 것 같습니다. 시골인데도 한국 사람이 드문드문 보이더라고요.” 임씨는 귀국해서 현재 딤섬 전문점 조리사로 일하고 있다.

중국산 농수산물은 한·중 수교 후 우리 사회의 변화를 가장 실감나게 하는 분야의 하나다. 15년 동안 뉴스에서 가장 많이 들었던 단어 중 하나가 식품 안전성을 지적하는중국산 농수산물일 것이다. 그러나 1992 1인분에 3000원이던 된장찌개가 15년이 지난 지금 5000원을 유지하면서 서민의 뱃속을 달래줄 수 있는 이유는 우리가 말만 들어도 일단 색안경을 끼고 보는 중국산 덕분이다. 찌개에 들어가는 멸치와 해물은 물론 쌀, 대파, 양파, 마늘, 당근 등은 중국산이 대부분이다. 중국산 당근의 경우 가격과 품질을 인정 받아 가락시장 진출 2년 만에 시장의 절반을 장악했다. 이렇게 생각보다 빠른 속도로 중국산 공세는 농수산물을 넘어 가공식품으로 옮아가고 있다. 중국산 수입식품 1위는 물론 김치지만 젓갈이나 장류 등의 수입량도 상당한 것을 보면 전통 영역이라고 여기던 우리의 식탁 구석구석까지 중국산이 얼마나 빠르게 침투했는지 알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팀의 백종민 사무관은 중국산 수입식품 중 통조림이나 과자 등을 포함한 가공식품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식장이나 행사장 등과 같이 갈비탕이나 설렁탕 전문점이 아닌 곳에서 제공되는 음식의 대부분은 중국산 통조림이며, 도토리묵이나 떡볶이 떡 등도 거의 중국산이다. 중국산이 빠르게 퍼지고 있는 현상에 대해 동국대 식품공학과 신한승 교수는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산 농수산물과 가공식품의 수입은 세계적 추세라며그러나 우리가 보다 값싸고 질 좋은 농산물을 먹기 위해서는 미국과 같이 중국산 농산물에 대한 전용 안전 체계를 갖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중국과의 인적·물적 교류가 급증하면서 한국은 서해안 시대가 활짝 열렸다. ·중 수교 이전 중심축이던 경부 벨트의 비중이 낮아지고 서해안 벨트가 새로운 중심축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인천이 좋은 사례다. 요즘 인천 세관에는 하루 3000여개의 컨테이너가 들어오는데 그 중 90%가 중국에서 온다고 한다. 중국으로 가는 관문 격인 인천은 급팽창을 거듭하고 있다. 인천 인구는 1995년부터 2007 6월 말까지 28만명 정도 증가해 총 2686022명을 기록했고 같은 기간 동안 25만명이 감소한 부산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며 제2의 도시 자리를 넘보고 있다.

 

서해안을 통한 교역량이 급증하면서 목포까지 이어지는 서해안 벨트가 새로운 산업단지로 자리잡았고 지리적으로 중국과 가장 인접한 충남 당진과 전북 군산을 중심으로 기업들이 속속 자리를 옮기고 있다. 동아대 동북아 국제대학원의 최순 교수는과거에는 경부축이 중심이던 것이 서쪽으로 옮겨 가면서 지방분권화되고 있다는 것은 좋은 현상이지만 중국에 대한 의존성이 너무 커지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